POOL

전시서문
작품목록
전시전경

우리가 모두 이미 산

최선 큐레이터

전시 공간은 평창송어축제에서 어린이를 위해 만든 실내 낚시터 공간이다. 어려운 송어 낚시를 어린이도 쉽게 할 수 있게 만든 POOL공간과 야외에서 우리가 모두 이미 산을 전시한다.

작품들은 원형의 수조 위로 공중에 매달려 있어 총체적인 하나의 산을 이룬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중력을 이긴 듯 허공에 띄워진 작품들은, 오히려 작품이 만들어진 물질을 강조한다. 작품을 구성하는 재료들은 텍스타일·돌·철선·파쇄 종이·스테인리스·먹·수채 물감으로 각기 다르다.

우리가 모두 이미 산 전시에서는 강원에서 성장하거나 작업 활동을 한 작가들이, 강원의 자연과 일상으로부터 어떻게 자극받고 외부세계를 이해하는지 파악한다. 물질을 예술로서 작가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매체로 표현하기까지의 고민과 탐구를 통해 각자가 엄연한 존재로서의 개성과 개별성을 획득한 과정을 확인한다.

최원희는 삼척에서 딸기 농사를 지으면서 그림을 그리는데, 도화지에 연필로 드로잉하여 수채 물감으로 채색한 인물들은 생생하다. 작가의 삶을 대하는 정직한 태도가, 연필과 수채 물감으로 꾸밈없고 맑은 인물들의 형상을 그린다. 권용택은 돌에 그림을 그려서 자연의 부속물인 돌에게 산수 전체를 부여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권용택은 돌들을 공중에 띄워, 돌에 그려진 산수에 무게감을 준다. 신철균의 족자 속의 바위들은 족자 안에 머물러 있었다. 족자를 허공에 달자, 족자를 둘러싼 입체적인 공간이 생겼다. 족자 속의 바위는 족자를 넘어선 허공 전체에 떠올라 있는 듯하다.

원인종은 강원도에서 성장하며 본 산의 풍경과 감각을 작업의 원류로 삼아왔다.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철의 움직임은 수직유연하고 자연스럽다. 가느다란 철선을 용접하여 만든 작품의 표면에는, 철이 녹고 이어지면서 만들어진 흔적이 보인다.

김명숙은 여성의 가사 노동인 바느질과 천연 염색을, 아름다움을 만드는 작업의 과정으로 전환시켰다. 텍스타일은 공간 전체를 따스하고 포근하게 감싼다. 전태원은 창령사터 나한의 미소를, 작가의 물질적 탐험의 미학과 연결시킨다. 작가는 종이를 파쇄하여 돌의 질감을 낸 작품을 공중에 매달아, 질량과 중력을 교차시켜 보이는 시각효과로 시공간을 초월한 나한의 미소를 강조한다.

정지연은 철제 구조물을 전시장 밖 야외에 설치하였다. 바람과 햇빛에 따라 휘날리고, 빛나고, 구조 전체가 운동한다.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공학적인 작품은 구의 형태로 주변과 순응하고 주변 환경과 자연스러운 관계를 만든다.

작가들이 강원의 자연과 일상으로부터 얻은 물성에 대한 이해와 탐구는, POOL전시장에 떠오른 작품들을 통해 작가가 획득한 개별성과 주체를 보여준다. 각자가 엄연한 존재의 ‘산’들이다. 따라서 우리는 모두 이미 산이다.


We Are Already All Mountains

Choi Sun, curator

We Are Already All Mountains unfolds in the outdoor area and the POOL exhibition space, an indoor fishing site made for children. During the Pyeongchang Trout Festival, this indoor fishing site facilitates children’s participation in trout fishing.

The artworks are suspended above a round water tank and come together to create the shape of a mountain. Floating in the air as if defying gravity, these works of art emphasize the materials of each piece. Various materials have been used, including textiles, stones, wires, shredded paper, stainless steel, ink, and water paint.

We Are Already All Mountains shows how artists who grew up or have worked in Gangwon-do have been influenced by local nature and daily life and understand the outside world. It examines the processes through which the artists, with much thought and practice, developed their identity and originality, which allowed them eventually to express material as an art medium for delivering their stories.

Choi Won Hee, an artist and a strawberry farmer based in Samcheok, makes vivid water-colored pencil drawings of people. Her sincere attitude toward life creates honest, transparent figures rendered only in pencil and water paint. Kwon Young Taek draws on stones to add the entire natural scenery to these components of nature.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hangs the stones in the air, adding weight to the landscapes drawn on the stones.

Shin Cheol Kyun’s rocks were originally positioned inside the scroll. But when he hung the scroll in the air, a three-dimensional space emerged around it. The rocks in the scroll now appear to hover in the air beyond the scroll. Won In Jong finds the source of his work in the mountain scenery he saw and felt while growing up in Gangwon-do. The movement of his steel structure connecting heaven and earth is flexible, but looks painful. The surface of the sculpture made by welding thin metal wires shows marks of the melting and fusing process. Kim Myong Sook transforms sewing and natural dyeing—domestic chores traditionally done by women—into a process for making beauty. Her textile work warmly and gently envelops the entire space. Jeon Tae Won connects the smile of the arhat artifacts from the Changnyeongsa Temple site to the aesthetics of his study of materials. He reproduces the texture of stones with shredded paper and hangs the stones in the air, creating what appears like an intersection of mass and gravity, a visual effect that emphasizes the arhat’s transcendental smile. Jung Ji Youn’s steel structure is installed outside the exhibition venue. It turns, shines, and moves with the wind and sunlight. Built of stainless steel, this globe-like structure adapts to its environment and forms a natural relationship with its surroundings.

The works suspended in the POOL exhibition space reflect the artists’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and study of the matter derived from nature and daily life in Gangwon-do. Each artist is indeed a “mountain.” Indeed, we are already all mountain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작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ool 전시 전경 사진 pool 전시 전경 사진 pool 전시 전경 사진 pool 전시 전경 사진 pool 전시 전경 사진
close

close